우리가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원룸, 오피스텔, 토지, 상가 등등 부동산에 중개를 맡겨서 거래를 성사하게 되면 중개수수료인 일명 복비를 지불하게 되는데요. 직거래가 아닌 이상 지불해야 하는 부동산 복비 계산방법과 그 외 중개수수료에 대한 팁을 드려볼까 합니다.
복비(중개수수료)란?
복비, 중개수수료, 중개보수 등등 여러 표현으로 불리는 이 단어는 집을 계약하거나 할 때 중개업자에게 중개성사에 대한 대가로 내는 보수이며 중개업자가 거래 당사자들에게 받습니다. 이 보수를 지급하는 시점은 딱 정해진건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계약일 당시 내거나 잔금을 다 치르고 나서 내는 것으로 협의합니다.
복비 계산 기준?
일반적으로 복비는 크게 거래형태, 종류별, 금액별에 따라 나눠집니다. 매매인지 임대인지에 따라 달라지고 물건의 종류가 주택인지, 원룸인지, 오피스텔인지, 토지인지, 상가인지에 따라 모두 다 다른 요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해당 부동산의 금액에 따라 수수요율이 달라집니다.
중개보수 요율표
복비(중개보수) 계산 방법
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는 이 표를 다 외우고 있지 않아도 됩니다. 꼭 기억하지 않아도 되는 부동산중개 보수에 대한 요율에 골머리 썩이지 말고 지금 알려주는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네이버에서 "부동산중개보수" 검색해서 해당 표에 숫자와 내용만 기입하면 자동으로 계산해 줍니다.
- "부동산계산기"라고 휴대폰 어플을 다운로드하여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 어플에는 중개보수를 비롯해 양도세나 상속세와 같은 여러 가지 세금도 계산 가능합니다.
복비(중개보수) 관련 소소한 팁
일단 중개보수는 협상이 무조건 가능합니다. 위에 적은 수수료 표는 수수료의 상한선을 적어뒀기 때문에 거래하기 전 복비를 먼저 확인한 뒤 중개업자와 협상을 통해 충분히 깎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들도 이 중개를 업으로 삼고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얼마나 나의 거래성사를 위해 힘썼느냐에 따라 고민해 보도록 해야 할 것 같아요.
그리고 중개보수 협상은 해당 부동산 계약직전이 가장 효과적인데요. 당장 눈앞에 계약이 아른거리는 순간에 중개보수 협상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걸 잊지 마세요.
마지막으로 중개수수료는 소득공제 대상이기 때문에 현금영수증은 꼭 받아두셔야 합니다.
현금영수증 발부 시 10% 부가가치세를 포함하여 받게 되는데요. 일반과세자인 중개사무소만 부가가치세를 포함하여 받을 수 있기에 간이과세인 사무실에서 10% 부가가치세를 요구하는 부당한 행위를 하는지 잘 알아보셔야 합니다.
이 정도 내용만 숙지하고 있더라도 부동산 거래 중개보수인 복비에 대한 개념이 딱 잡히지 않았나 생각이 드네요. 꼭 기억해두시고 실수 안 하도록 해봐요.
'부동산 >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깡통전세 대처법 (전세보증보험, 예방할수 있는 유용한 사이트) (0) | 2023.02.14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