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용어정리2 깡통전세 대처법 (전세보증보험, 예방할수 있는 유용한 사이트) 집값이 20% 떨어지면 갭 투자자의 40%가 전셋값 못 돌려준다는 오늘자 기사가 있었습니다. 정말 요즘 부동산 난리입니다. 다시금 세입자들에게 공포감 조성을 야기할 깡통전세 위험에 놓이게 되었는데요. 국토연구원에선 내년 상반기 역전세(깡통전세) 위험이 최고점에 도달하지 않을까 라는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국토연구원은 집값 하락으로 인해 전세 보증금 반환하지 못하는 위험의 최고점이 내년 상반기가 아닐까 조심스럽게 예상했는데요. 만약, 주택 가격의 15% 이상이 내려가게 된다면 약 1만 가구의 임대인이 전세 보증금을 돌려주기에 어렵지 않을까 하는 예상이었습니다. 여러 대출을 고려해서 집을 팔았을 때 보증금 반환이 가능할 주택은 많이 쳐준다 해도 21만 가구 정도로 예상되고 전체 주택 가격의 25% 떨어지면 1.. 2023. 2. 14. 부동산 전세 월세 매매 중개수수료인 일명 복비 계산 방법을 알아봐요 우리가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원룸, 오피스텔, 토지, 상가 등등 부동산에 중개를 맡겨서 거래를 성사하게 되면 중개수수료인 일명 복비를 지불하게 되는데요. 직거래가 아닌 이상 지불해야 하는 부동산 복비 계산방법과 그 외 중개수수료에 대한 팁을 드려볼까 합니다. 복비(중개수수료)란? 복비, 중개수수료, 중개보수 등등 여러 표현으로 불리는 이 단어는 집을 계약하거나 할 때 중개업자에게 중개성사에 대한 대가로 내는 보수이며 중개업자가 거래 당사자들에게 받습니다. 이 보수를 지급하는 시점은 딱 정해진건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계약일 당시 내거나 잔금을 다 치르고 나서 내는 것으로 협의합니다. 복비 계산 기준? 일반적으로 복비는 크게 거래형태, 종류별, 금액별에 따라 나눠집니다. 매매인지 임대인지에 따라 달라지고.. 2023. 2. 13. 이전 1 다음